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진통 끝에 바른미래당으로 새 출범한지도 어느덧 한 달이 지났으나, '화학적' 통합까지는 아직 갈 길이 먼 모습이다. <뉴시스>

[시사위크=김민우 기자]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진통 끝에 바른미래당으로 새 출범한지도 어느덧 한 달이 지났으나, '화학적' 통합까지는 아직 갈 길이 먼 모습이다. 당 지도부는 공동대표 체제에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 등 당직을 나누며 역할 분담을 어느정도 이뤘으나, 구성원인 당직자들 사이에서는 통합됐다는 실감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는 하소연도 나오고 있다.

19일 바른미래당에 따르면 각 당 지역위원회를 비롯해 조직국, 기획국, 총무국, 정책국 등은 기존 정당체제의 두 집 살림을 이어가고 있다. 그나마 통합을 이룬 것은 언론대응하는 공보국 정도다.

특히 6월 지방선거 전략을 짜고 정책을 수립해야 할 각 당의 싱크탱크인 정책연구원(연구소)조차 따로 살림하고 있다. 각 싱크탱크는 재단법에 따라 운영되는 만큼 통·폐합도 정당법이 아닌 재단법에 따라야 하는데, 이 절차가 복잡한 데다 통합 방법을 결정짓는 당 지도부의 합의가 좀처럼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그러다보니 각 정책연구원장도 제각각이다. 바른정책연구소장은 지상욱 바른미래당 정책위의장이 맡고 있으며, 국민정책연구원장은 이태규 전 원장이 바른미래 사무총장으로 당직을 바꾼 이후 공석이다. 당내 일각에서는 전 사무총장인 김관영 의원이 내정됐다는 이야기가 나오지만, 당사자는 아직 공식적으로 전해 들은 바가 없다는 입장이다.

국민의당 출신의 한 관계자는 "지방선거가 다가오는데 실무선에서 공동으로 준비하고 이런게 찾아보기 힘들다"며 "물리적 결합도, 화학적 결합도 사실상 안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직제와 처우 차이에 따른 불만도 제기된다. 바른미래당으로 통합했지만, 당직자들은 기존 소속 정당 체제에 따른 임금을 받고 있는데, 임금격차에 따른 박탈감을 하소연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직책에 따라 월급차이가 수십만~백여만원인 가운데, 평균치로 양쪽의 임금을 조정하려고 해도 높은 쪽의 반발이 심해 진전이 없는 상황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처럼 화학적 결합이 미뤄지는 이유로 당 규모보다 당직자가 너무 많다는 점이 거론되고 있다. 바른미래당 국회의원은 30명인데, 전체 당직자 수는 200명이 넘는다. 의원 100명이 넘는 더불어민주당이나 자유한국당과 비슷한 규모다.

여기에 시·도당을 제외한 중앙당 당직자만 120여명 수준으로 알려졌는데, 정당의 유급 사무직원 수를 100명을 초과할 수 없다는 정당법 제30조에 따라 최소 20명에 대한 구조조정이 예상되고 있다.

당 안팎에서는 이같은 조정작업이 6월 지방선거 이후에나 이뤄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어떤 기준으로, 어느정도 규모로 조정이 이뤄질지에 대해서는 예측할 수 없어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이같은 불안감은 구성원 규모가 적은 바른정당 출신에서 더 크게 감지된다.

바른미래당 핵심관계자는 "사무처 통합 등 당내 통합절차가 좀처럼 진척되고 있지 않은 것은 사실"이라며 "회사를 합칠 때도 상호 통합보다 힘든 것이 인력문제다. 이는 구성원들의 생활이 달린 문제이기 때문"이라고 난항을 예고했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