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가 상승하면 취약계층에 대한 대출비중이 높은 비은행금융기관의 자산건전성이 위협받을 수 있다. <픽사베이>

[시사위크=현우진 기자] 국내 금융기관의 실적 및 운영현황이 안정적인 수준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향후 변화할 금융환경에 대비해야 한다는 조언도 있었다.

한국은행은 21일 2017년 9월 기준 국내 금융업 동향을 점검한 결과를 발표했다.

은행업계 전반이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순이자마진이 늘고 대손비용이 감소하면서 수익성이 호전됐다는 것이 한국은행의 설명이다. 은행 외 금융기관들도 성장성·자산건전성·수익성 측면에서 양호한 실적을 기록했지만, 여신전문금융회사의 경우 지난 2015년 1분기 이후 관찰됐던 총자산순이익률(ROA)의 하락세가 최근까지 지속된 것으로 확인됐다.

위기상황에 대한 금융기관의 복원력을 측정하는 지표들도 긍정적이었다. 급격한 현금유출 상황을 가정한 은행의 대응능력(LCR)과 보험사의 위험기준자기자본비율(RBC)은 모두 규제기준비율을 여유 있게 상회했다. 다만 한국은행은 2018년 1월부터 도입되는 새 자본규제(IFRS9·IFRS15 등)에 대비해 자본 확충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금융시스템의 전반적인 안정 상황을 나타내는 ‘금융안정지수’는 8월 3.8을 기록해 ‘주의’수준인 8을 안정적으로 하회했다. “북한 리스크 증대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됐다”는 한국은행의 설명처럼 2.0 수준이었던 지난 5월에 비해선 소폭 증가했지만 6,7을 넘나들었던 작년 말보다는 상당히 낮다.

보다 직접적인 위험요인으로 지목된 것은 취약차주의 비중이 높은 은행 외 금융기관의 가계대출이 2016년 하반기 이후 큰 폭으로 늘어난 점이었다. 비은행 금융기관은 취약차주의 대출 중 67.3%를 차지하며 이 중 상호금융이 27.2%, 대부업체가 10.2% 가량을 차지한다.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금리 상승 전망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자산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저작권자 © 시사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